분류 전체보기66 커피와 함께 먹으면 안 좋은 음식 & 약 ☕ 커피와 함께 먹으면 위험한 음식과 약, 알고 계셨나요?많은 사람들이 하루의 시작을 커피로 엽니다. 저도 잠을 깨고 싶어서 오전에 커피를 많이 마시는 편인데요. 하지만 혹시 커피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은 음식과 약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잘못된 조합은 속쓰림을 유발하거나 약효를 떨어뜨릴 수도 있어요. 오늘은 커피와 함께 피해야 할 음식과 약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커피와 함께 먹으면 좋지 않은 음식1️⃣ 감귤류 (오렌지, 자몽, 레몬 등)커피와 감귤류 모두 산도가 높아 위산을 과도하게 자극할 수 있어요. 속쓰림이나 위장 장애를 겪기 쉬운 분들은 이 조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2️⃣ 고지방 음식 (버터, 치즈, 튀김 등)카페인은 지방 소화를 늦추는 성질이 있어요. 여기에 기름진 음식이 더해지.. 2025. 2. 2. [야구사진 찍기] One-Shot AF vs. AI 서보 AF? One-Shot AF vs. AI 서보 AF? 그냥 원샷으로 해도 괜찮다! * 아래 내용은 캐논 7D MARK2의 자동초점 모드를 기준으로 작성됐습니다. 우리는 보통 자동초점(AF) 모드를 사용합니다. 반셔터를 누르면 초점이 맞춰지는 기능입니다. 이 자동초점 모드에는 세 가지의 동작이 있는데 캐논 카메라 기준으로 각각 One-Shot AF, AI Focus AF, AI 서보 AF가 그것입니다. 사용설명서에 따르면, ‘One-Shot AF’는 정지 피사체를 촬영할 때 적합하며 셔터 버튼을 반누름하면 카메라가 초점을 한 번만 맞춥니다. ‘AI 서보 AF’는 움직이는 피사체에 적합하며 셔터 버튼을 반누름한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카메라가 피사체에 계속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AI Focu.. 2025. 2. 2. 냉동하면 안 되는 음식 10가지! 냉동 보관은 식재료를 오래 보관하는 좋은 방법이지만, 모든 음식이 냉동에 적합한 것은 아닙니다. 잘못 냉동하면 식감이 망가지거나 맛이 변할 수 있어요. 저는 금방 먹지 못할 음식은 무조건 냉동실에 보고나하는 습관이 있는데 어디선가 그러면 안 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냉동 보관이 바람직하지 않은 음식 10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냉동하면 맛과 식감이 나빠지는 음식 1. 수분 많은 채소 (오이, 상추, 양상추 등)냉동 후 해동하면 물기가 빠져 흐물거리고 식감이 나빠져요. 신선한 상태로 먹는 것이 좋아요. 2. 감자와 고구마감자: 냉동 후 해동하면 전분이 분해되어 식감이 퍼석해져요.고구마: 생으로 냉동하면 조직이 망가져 푸석푸석해집니다. (단, 익혀서 냉동하면 괜찮아요!) 3. 수분 많은 과일 (수박, 참외.. 2025. 2. 1. [야구사진 찍기] 초점 맞는 사진이 없어요! 야구 사진을 찍으면서 가장 힘든 어려움은 초점 맞는 사진을 찍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말을 돌려 생각하면 초점만 맞춰도 선방한 셈이고 있어 보이는 사진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차피 야구는 시합 자체가 드라마틱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어떤 단면을 담아내든 선명하게만 보여준다면 그럴싸하게 있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초점 맞는 사진을 찍기 위해선 우선 ‘그물’을 피해야 합니다! 망원렌즈는 초점거리가 길어 그물 너머에 있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면 그물이 나오지 않습니다. 망원렌즈 끼고 사진을 찍고 있으면 아주 가끔 그물 안 찍히냐고 물어보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럼 전 가타부타 말없이 찍은 사진을 재생해 보여드립니다. 야구사진을 찍으면서 비싼 카메라를 쓰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가끔 그물에 반사된 빛이 반.. 2025. 2. 1. 아파트 철근 누락, 사례 & 대처 방법 1. 아파트 철근 누락 관련 동아일보 보도 최근 동아일보는, 국토교통부의 무량판 아파트 안전진단 보고서 전체를 입수해 전문가들과 수개월간 분석한 결과, 철근 누락 8곳, 콘크리트 강도 미달 3곳 등 최소 11곳에서 부실이 발견됐다고 보도했습니다.(아래 기사이미지를 클릭하면 기사 원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후속 기사에는 국토부 조사가 이루어진 아파트의 입주민이 설계도면에서 문제점을 발견한 이후 보강공사를 하기까지의 우여곡절을 다루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무관심과 무사안일에 맞서 전문업체를 통해 조사를 했고 그 결과, 안전 진단이 나왔던 아파트에서 30여 개의 철근누락을 발견해 결국 시공사의 시인을 받고 보강공사를 했다는 것입니다.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에서 아파트 철근 누락 문제가 꾸준히 .. 2025. 1. 31. [야구사진 찍기] 삼각대/모노포드 필요할까? [흔들리지 않는 사진은 도대체 어떻게 찍나요?] 5번째 이야기입니다.삼각대/모노포드 필요할까? 야구장에서 좋은 카메라 들고 사진 찍는 분들을 보면 대부분이 모노포드나 삼각대 없이 손에 들고 찍으십니다. 최근에 좋은 장비들은 무게가 많이 가벼워졌습니다.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말은 못 하겠지만 작년에 한 번 써 본 미러리스(캐논 EOS R7)의 경우 상당히 가벼웠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모노포드 없이 손에 들고 찍기가 부담스러웠어요. 어느새 무거운 DSLR의 무게에 익숙해졌나 보다 했습니다. 그냥 손에 들고 찍는 건 장점이 분명합니다. 어떤 상황이 발생했을 때 최대한 빨리 그 장면을 찾을 수 있다는 겁니다. 저도 캐논 70-200 렌즈를 사용할 땐 손에 들고서 하루 세 경기를 찍었습니다. 그러나 100-400.. 2025. 1. 31. [야구사진 찍기] 노이즈에 겁먹지 말자! [흔들리지 않는 사진은 도대체 어떻게 찍나요?] 4번째 이야기입니다.노이즈에 겁먹지 말자 노이즈는 생각보다 사람 마음을 쓰리게 만듭니다. 좋은 장면을 발견했고 운 좋게 초점도 잘 맞춰 찍었는데 나중에 컴에서 확인해 보니 얼굴에 노이즈가 많으면 진짜 마음 아프죠. 그러다 보면 후보정에 열정을 쏟아붓게 됩니다. 최근 기종은 노이즈 억제 기능이 정말 좋습니다. 저는 원래 7D 를 쓰다가 7D mark2로 바꾸었습니다. 그런데 같은 값으로 찍어도 노이즈가 정말 적어지더군요. 최근에는 미러리스 기종을 써봤습니다. 와, 신세계더군요! 최근에 나온 기종일수록 노이즈 억제 기능이 좋은 건 분명해 보였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나온 것일수록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장점이 있죠. 저 또한 최대한 예산을 아끼려는 마음에 중고.. 2025. 1. 30. [야구사진 찍기] 흐린 날 사진 찍기! [흔들리지 않는 사진은 도대체 어떻게 찍나요?] 3번째 이야기입니다.흐린 날 사진 찍기 흐린 날은 ISO를 사용하는데 주저함이 없어야 합니다. 선명한 사진이 필요한데 빛이 적은 날이기 때문입니다. 선명한 사진이 필요하기 때문에 셔터 속도를 어느 값 이상을 확보해야 합니다. 빛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리개값도 최대 개방, 즉 최소값으로 맞춥니다. 그렇기 때문에 흐린 날엔 셔터 속도 우선 모드나 조리개 우선 모드가 사실상 큰 차이가 없습니다. 셔터 속도를 일정 속도 이상 유지하면서 노이즈를 최대한 피하려면 조리개를 최대한 개방해야 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셔터 속도와 조리개값이 거의 상수값이다 보니 결국 사진을 어둡지 않게 조정하는 건 ISO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ISO값이 커지면 노이즈가 많아지니 늘.. 2025. 1. 29. [야구사진 찍기] 셔터속도를 고정하자! [흔들리지 않는 사진은 도대체 어떻게 찍나요?] 2번째 이야기입니다.셔터속도를 고정하자! 앞에서 제가 이해하고 있는 수준에서 셔터 속도, 조리개값, ISO를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개념들을 우리가 다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저 우리의 목표는, 우리 아이가 공을 치고 1루로 전력 질주를 하는데 이 모습을 흔들리지 않고 선명하게 찍어내는 것이니까요. 제 경험을 말씀드리면, 저는 꽤 오랫동안 카메라 기본 모드 중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를 선택했고 셔터 스피드를 1/500초로 고정시켰습니다. 셔터스피드 우선 모드에서는 촬영자가 셔터 속도를 결정하면 주어진 ISO 하에서 카메라가 알아서 조리개값, 즉 필요한 빛의 양을 계산합니다. 이때 만약 카메라 바디에 표현된 조리개값이 깜빡인다면 빛이 모자란.. 2025. 1. 28. [야구사진 찍기] 셔터 속도, 조리개값, ISO는 기억하자! [흔들리지 않는 사진은 도대체 어떻게 찍나요?] 1번째 이야기입니다.셔터 속도, 조리개값, ISO는 기억하자 사진이 흔들리지 않으려면 짧은 찰나를 포착해야 합니다. 그것과 관련된 개념이 ‘셔터 속도’입니다. 셔터 속도란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인데 이게 짧을수록 순간의 이미지가 기록되고 피사체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선명한 사진을 찍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빛을 받아들이는 시간이 짧기 때문에 사진이 어두워지는 문제가 생깁니다. 이때 조리개가 충분히 개방돼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어느 정도 확보되면 적정 밝기의 사진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다시 확인해야 할 것은 조리개가 개방되어 빛을 더 많이 받아들이게 될 때 조리개값(F값)은 작아지며 반대로 조리개를 조여서 받아들이는 빛의 양이 적어질 때 조리개값은 .. 2025. 1. 27. 이전 1 2 3 4 5 6 7 다음